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총정리
해마다 출산 지원 서비스가 늘면서 어떤 혜택이 있는지 헷갈리기도 한데요. 주민센터까지 가지 않고도 집에서 간편히 정부24에 접속하여 모든 혜택을 한번에 신청할 수 있는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가 있다는 사실 아셨나요?
확대된 전국 공통 서비스와 함께 지자체 서비스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으니 최대 22가지가 있는 혜택 내용과 신청 방법을 함께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 자격
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는 아이를 낳은 부모가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정부지원 서비스를 통합한 서비스입니다. 출생신고시 양육수당, 아동수당 등 금전적 지원은 물론 출산 축하금, 전기료 경감과 같은 혜택을 간편하게 한번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신청자출산자 본인 또는 배우자
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혜택
통합신청 공통 서비스 |
부모급여 |
양육수당 |
아동수당 |
해산급여 |
여성장애인출산비용지원 |
저소득층 기저귀·조제분유지원 |
SRT 다자녀 가족 할인 |
첫만남 이용권 |
출산가구 전기료 경감 |
다자녀 전기료 경감 |
다자녀 도시가스료 경감 |
다자녀 지역난방비 경감 |
KTX 다자녀 행복 |
※ 이때 부모급여의 경우, 아동 출생 이후 60일 이내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. 그러니 꼭 출산 후, 빠른 시일 내에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신청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.
통합신청 지자체 서비스
시도 출산지원금 |
출산용품 |
다자녀 가족사랑카드 |
유축기 대여 |
5-Touch 건강교실 |
시군구 출산지원금 |
다자녀 출산 축하 |
다자녀 차량용 스티커 발급 |
산후모유 수유교실 |
※ 지자체마다 서비스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.
[정부24]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
신청방법
정부24 접속 → 민원서비스 → 원스톱 서비스 → 행복출산 → 신청하기
신청결과
정부24 홈페이지 → 서비스 → 사실/진위확인 → 행복출산 통합신청상황 확인 → 접수번호 조회
[주민센터]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
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시 출생신고를 할 때 한번에 통합신청 하시면 편리합니다.
신청 방법
주민센터에 비치되어 있는 통합신청서 작성
→ 읍면동 주민센터 접수
→ 확인 및 접수
→ 결과 확인
※ 결과는 전화 또는 휴대폰 문자안내로 받으실 수 있으며 결과 절차는 정부24에서 접수번호를 통해 조회가 가능합니다.
부모급여의 경우 출산 후 60일 이내에 신청을 해야 지급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출생 신고시 출산자 본인 또는 배우자가 주민센터에 방문해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까지 같이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정부24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는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이밖에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있으니 꼼꼼히 확인 후, 최대 22가지 혜택 누리시길 바랍니다!
댓글